3월7일 전남 여수 ‘거

본문

3월7일 전남 여수 ‘거기책방다섯’에서 <시사IN> 찾아가는 독자위원회가 열렸다. ⓒ시사IN 이명익 3월7일 오후 2시10분. 여수행 기차를 타고 스마트폰을 열자 속보가 떠 있었다. ‘법원, 내란 우두머리 혐의 尹 대통령 구속취소 인용.’ 속속 전해지는 뉴스와 재판부의 결정문, 법원에서 배포한 보도 설명자료 등을 확인하며 ‘찾아가는 독자위원회’가 예정된 전남 여수의 독립 서점 ‘거기책방다섯’으로 향했다.‘거기책방다섯’은 이름처럼 다섯 명의 책방지기가 함께 운영하는 서점이다. 지난해 4월, 여수 여행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중앙동 이순신광장 부근의 골목에 자리를 잡았다. 책방지기 중 한 명인 노노 씨(별명)는 지난해 7월 전남 순천의 ‘서성이다’에서 열린 〈시사IN〉 찾아가는 독자위원회(찾독위) 소식을 듣고 직접 찾독위를 신청했다.저녁 7시인 ‘찾아가는 독자위원회(찾독위)’ 시간보다 20분 남짓 먼저 책방에 도착한 윤지환씨는 자리에 앉자마자 답답한 심정을 토로했다. “회사에서 속보를 딱 보는데 그다음부터 일이 손에 안 잡히더라고요. 오늘은 좀 일찍 마치고 나왔습니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법원의 결정에 충격을 받은 탓인지, 이날 찾독위에는 ‘시사’에 특히 관심 많은 여수 시민들이 발걸음을 했다.이날 모인 독자들은 12·3 쿠데타 이후 뉴스에서 눈을 떼기 어려운 불안감과 그로 인한 피로감을 동시에 호소했다. 여수 찾독위의 리뷰 대상인 〈시사IN〉 2월 발행호에는 설문조사로 보수 유권자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제910호 ‘30%의 세계관’), 윤석열 탄핵에 반대하는 시민들을 심층 인터뷰한(제911호 이들은 왜?) 커버스토리 등 굵직한 정치·사회 분석 기사가 포함되었지만, 이날 찾독위의 대화는 가족, 지역살이, 비정규직 노동 등 삶과 밀착된 주제로 흘러갔다.■ 제908호 얘들아 뭐 하니리뷰 대상인 4권(제908~911호) 가운데 유일하게 “책을 펴보고 싶게 만드는 표지”라는 평가를 받았다. 전광훈 목사와 탄핵 반대 집회 참가자들이 등장하는 다른 호의 “스트레스 유발” 표지와 달리 제908호 표지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를 보고 있는 두 어린이가 등장한다. 〈시사IN〉 표지에는 종종 ‘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국립창극단 신작 '심청' 극본·연출 요나김이 10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판소리 '심청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신작 '심청' 제작발표회를 하고 있다. 2025.04.10. pak7130@newsis.com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심청이를 '효(孝)'에 국한해 규정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0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열린 신작 '심청' 제작발표회에서 극본과 연출을 맡은 연출가 요나 김은 "심청을 유교적 가치관에 초점을 둔 게 아니다"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20여년 간 활동 중인 세계적인 오페라 연출가 요나 김은 심청이라는 캐릭터에 대해 "전세계 어디에서나 나타나는 캐릭터"라고 강조했다. 그는 "눈 먼 아버지를 위해서 자기를 희생하는 캐릭터가 한국에만 있는 게 아니다. 그리스 비극은 물론, 독일의 모든 동화에도 그런 인물이 많다"며 "심청이라는 옷을 입고 있지만, 어쩌면 우리 전부의 이야기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또 심청이 굳이 아버지를 위해 희생한다기보단 자기보다 약한 사람들을 위해 자기를 내놓을 수 있는, 그리고 이상을 위해 자신을 내려놓을 있는 것일 수 있겠다 생각했다"며 "아버지는 가부장 사회에서 권력이 센 사람이지만 눈이 멀었다. 우리 사회에 현실 인식이 잘 안되는 사람들이 많지만, 서로 돕다 보면 세상은 어떻게든 돌아간다"고 지적했다. 결국 '심청'이 부녀 만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요나 김은 지난해 국립오페라단 '탄호이저' 연출로 호평을 받으며 한국 관객들에게 눈도장을 찍었다. 올해 8월과 9월 전주와 서울에서 각각 초연하는 신작 '심청' 연출을 맡으며 판소리를 기반으로 한 작품에 도전한다. 그는 '심청'을 창극으로 규정하지 않는다고 했다.그는 "심청이라는 제목을 붙이고 그 밑에 전 세계 언어로 통하는 '판소리 테아트'라고 썼다"며 "그만큼 경계선에 서서 장르의 규정을 짓지 않고 싶다. 공연이 다 끝나면 장르가 새롭게 생길 수도 있겠다. 하지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