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시로 꾸짖은 시인개를 몹시 사랑한다던 한

본문

비상계엄 시로 꾸짖은 시인개를 몹시 사랑한다던 한 남자충격적인 역사 퇴행의 그날 밤수호견처럼 사납고 맹렬하게우린 민주의 냄새를 알아차리자시인 진은영이 말했다. “이제 감옥으로,/ 역사의 영원한 지하 감옥으로(우리도 그자의 이름을 영영 잊고 싶네!)”. 시 ‘개들을 사랑하는 두 가지 방법’(기사 아래 시 전문 첨부)에서 “자유와 민주주의의 사칭범”이자 “개를 몹시 사랑한다던 한 남자”를 두고 한 말이다.윤석열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했을 때 진은영은 프랑스 작가 로제 그르니에(1919~2017)의 <내가 사랑했던 개, 율리시즈>(김화영 옮김, 현대문학, 2002)를 읽고 있었다. 카뮈의 동료이자 스승이던 장 그르니에와 성이 같은 로제 그르니에도 카뮈의 동료이자 후배였다. 그리스 서사시 <오디세이아>의 주인공 오디세우스의 로마식 이름인 율리시스는 로제 그르니에가 파리 바크가 81번지 집에서 키우던 포인터 품종의 개 이름이기도 하다. 책은 율리시스에 관한 추억, 다른 작가들이 키우던 개 이야기, 문학 작품 속 이야기를 묶은 “일종의 개에 관한 명상집”(로제 그르니에)이다.진은영은 시에서 인간과 개라는 두 가지 종의 양면적 속성과 실상을 들여다보며 비상계엄 사태 전후의 세상을 통찰하려 한다.개는 어떤 존재인가. 개는 “주인이 흉악범이어도 권력자여도 역사에 패악을 부려 권력의 자리에서 쫓겨나도” 사랑한다. “꼬리를 흔들며, 권력자의 품 안으로 뛰어”들거나 “권력자의 목소리에 따라 무엇이든 사냥”한다. 저 비상계엄의 밤 “주인이 계엄의 묘약-이라고 착각한-잔을 들이마”실 때 “국회 의사당을 드나들던 수십 명 사람들”이 “잔에서 흘러내린 독의 방울을 육즙처럼 핥”았다.전국농민회총연맹이 트랙터를 몰고 서울 한남동 대통령광저로 향하다 남태령 일대에서 가로 막히자 시민들이 몰려 가 연대 집회를 열었다. 사진은 밤샘 대치 다음날인 2024년 12월 22일 남태령 집회 모습. 정효진 기자진은영은 “소크라테스의 인간”과 대비되는 개라는 비유를 거부하며 비상계엄 이후 트랙터 시위 농민, 고공 농성 여성 노동자(한국옵티칼하이테크 해고 노동자 박정혜, 소현숙), 성소수자를 “사랑하고 그들의 손을 따뜻하게 핥아주”던비상계엄 시로 꾸짖은 시인개를 몹시 사랑한다던 한 남자충격적인 역사 퇴행의 그날 밤수호견처럼 사납고 맹렬하게우린 민주의 냄새를 알아차리자시인 진은영이 말했다. “이제 감옥으로,/ 역사의 영원한 지하 감옥으로(우리도 그자의 이름을 영영 잊고 싶네!)”. 시 ‘개들을 사랑하는 두 가지 방법’(기사 아래 시 전문 첨부)에서 “자유와 민주주의의 사칭범”이자 “개를 몹시 사랑한다던 한 남자”를 두고 한 말이다.윤석열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했을 때 진은영은 프랑스 작가 로제 그르니에(1919~2017)의 <내가 사랑했던 개, 율리시즈>(김화영 옮김, 현대문학, 2002)를 읽고 있었다. 카뮈의 동료이자 스승이던 장 그르니에와 성이 같은 로제 그르니에도 카뮈의 동료이자 후배였다. 그리스 서사시 <오디세이아>의 주인공 오디세우스의 로마식 이름인 율리시스는 로제 그르니에가 파리 바크가 81번지 집에서 키우던 포인터 품종의 개 이름이기도 하다. 책은 율리시스에 관한 추억, 다른 작가들이 키우던 개 이야기, 문학 작품 속 이야기를 묶은 “일종의 개에 관한 명상집”(로제 그르니에)이다.진은영은 시에서 인간과 개라는 두 가지 종의 양면적 속성과 실상을 들여다보며 비상계엄 사태 전후의 세상을 통찰하려 한다.개는 어떤 존재인가. 개는 “주인이 흉악범이어도 권력자여도 역사에 패악을 부려 권력의 자리에서 쫓겨나도” 사랑한다. “꼬리를 흔들며, 권력자의 품 안으로 뛰어”들거나 “권력자의 목소리에 따라 무엇이든 사냥”한다. 저 비상계엄의 밤 “주인이 계엄의 묘약-이라고 착각한-잔을 들이마”실 때 “국회 의사당을 드나들던 수십 명 사람들”이 “잔에서 흘러내린 독의 방울을 육즙처럼 핥”았다.전국농민회총연맹이 트랙터를 몰고 서울 한남동 대통령광저로 향하다 남태령 일대에서 가로 막히자 시민들이 몰려 가 연대 집회를 열었다. 사진은 밤샘 대치 다음날인 2024년 12월 22일 남태령 집회 모습. 정효진 기자진은영은 “소크라테스의 인간”과 대비되는 개라는 비유를 거부하며 비상계엄 이후 트랙터 시위 농민, 고공 농성 여성 노동자(한국옵티칼하이테크 해고 노동자 박정혜, 소현숙), 성소수자를 “사랑하고 그들의 손을 따뜻하게 핥아주”던 곳곳의 개들을 불러내 이렇게 말했다.“개들은 누구나 사랑하지/ 벼와 사과를 키우는 농민도, 높고 추운 곳에 올라간 여성 노동자도,/ 시스젠더와 트랜스젠더도 사랑하지/ 농부가 트랙터를 몰고 걱정 없이 돌아오길, 1년 넘게 땅을 밟지 못한 두 언니가 일터로 곧 돌아오길/ 무지개 손가락이 제 부드러운 코를 간지럽히길 내내 기다리지”.그리하여 “우리”는 진정 개처럼 된다. 또는 되어야 한다. 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