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까지 태어난

본문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까지 태어난 이들을 지칭하는 X세대는 ‘절약’이 모토인 기존 세대와 달리 ‘소비’를 적극적으로 한 최초의 세대로 분석됩니다. 경제적 풍요 속에서 자라나면서 개성이 강한 이들은 ‘디지털 이주민’이라는 이름처럼 아날로그 시대에 성장해 디지털 시대에 적응한 세대이기도 하죠. 그만큼 수용할 수 있는 문화의 폭도 넓어 대중음악 시장의 다양성을 이끌었던 주역으로 꼽히는데, 이들이 향유했던 음악을 ‘가요톱10’의 90년대 자료를 바탕으로 Z세대에게 소개합니다. <편집자주> ⓒ ◆‘가요톱10’ 1995년 4월 1주 : 김건모 ‘잘못된 만남’◆가수 김건모는, 1968년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 신월초등학교와 화곡 중·고등학교를 졸업한 그는 1986년 서울예술대학에 입학해 국악을 전공했다. 소위 ‘젓가락질을 제대로 하기 전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일찍이 음악에 재능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 홍보단에서 근무한 김건모는 군 전역 후 1991년 록 밴드 평균율의 키보디스트로 영입되면서 가요계에 발을 들였다. 이듬해인 1992년 댄스 음악 그룹 노이즈의 1집 편곡을 담당한데 이어 ‘잠 못 드는 밤 비는 내리고’를 타이틀로 한 정규 앨범을 발표하며 솔로 가수로 정식 데뷔했다.김건모는 1990년대 이후 수많은 히트곡을 내며 전국민적 사랑을 받았다. 국내 가요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독특한 음색과 음악적 역량은 시대를 뛰어넘는 인기의 이유다. 작곡, 편곡, 피아노 등 다방면의 재능과 함께 하이톤의 까랑까랑하면서도 부드럽게 울리는 보이스는 데뷔 전부터 주목을 받았다.한 가지 ‘웃픈’ 에피소드도 있는데 1집 발매 이후 무섭게 증가하던 음반 판매량이 그의 방송 출연 이후 갑자기 수직하락한 사건이다. 가창력과 음색에 비례하는 외모를 상상했던 대중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까무잡잡한 피부와 상대적으로 못생긴 얼굴 때문이라는 분석이었다. 김건모 역시 여러 예능에 출연해 이에 대해 언급하면서 웃어 보이기도 했다. ⓒKBS ◆‘잘못된 만남’은, 1995년 발매된 정규 3집 앨범의 타이틀곡이다. 애당초 이 앨범의 수록곡 ‘아름다운 이별’이 타이틀곡으로 쓰일 예정이었으나 김창환이 작사, 작곡한 ‘질못된 만남’이 큰 인기를 끌면서 타 5일 오전 10시께 서울 종로구 안국역 헌법재판소로 향하는 길목에서 경찰이 통행 제한에 나서고 있다. 한준호기자 “어제가 맞나 싶어요. 같은 장소, 다른 풍경이네요.” 5일 오전 10시께 헌법재판소가 위치한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일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내려졌던 전날, 안국역 6번 출구 인근에는 진보 성향 단체가, 5번 출구 인근에는 보수 성향 단체가 각각 집회를 열면서 이 일대는 경찰 차벽과 바리케이드가 들어선 ‘통제 구역’이었지만, 이날은 집회의 흔적이 자취를 감춘 채 일상을 되찾았다. 안국역 출입구 곳곳에서 우산을 쓴 시민들이 삼삼오오 상점가로 흩어졌다. 전날엔 차벽에 가로막혀 인기척조차 드물던 상권은 비오는 날씨에도 이른 시간부터 방문객의 줄이 길게 늘어섰고, 북촌 방향 공방 거리와 음식점에도 우산들의 행렬이 하나둘 들어서고 있었다. 이곳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점주 A씨는 “어제는 집회와 통제로 인해 가게 문을 열 생각을 못했는데 오늘은 관광객도 많고 평소 주말처럼 매장이 붐비고 있다”며 “금방 일상을 찾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인근 유명 베이글 가게 앞에 시민들이 줄을 서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오종민기자 전날 오전, 선고 이후 혹시 모를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경찰 차벽으로 폐쇄됐던 안국역 5번 출구 앞 주유소도 하루 만에 평소와 다름없는 모습으로 돌아왔다. 다만 헌재 청사 일대는 여전히 ‘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헌재로 가는 길목에는 경찰 버스 50여대가 줄지어 서 차벽을 형성하고 있었고, 경찰력도 전날과 마찬가지로 현장을 지키고 있었다. 삼청동 방향으로 향하려는 시민들은 불편을 겪었다. 안국역 2번이나 3번 출구에서 내려 헌재 앞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통상 경로가 막혀 있는 탓에 큰길이나 다른 골목길로 우회해야 했다. 현장에 있던 경찰 관계자는 “집회는 없지만 아직 철수하라는 지침이 내려오지 않아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헌재 앞은 일부 통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헌법재판소는 지난 4일 오전 11시22분께 윤석열 대통령에 파면을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결정했다. 한준호 기자 hjh1212@kyeonggi.com 오종민 기자 fivebell@kyeonggi.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