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 양지천 꽃들의 향연

본문

순창 양지천 꽃들의 향연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새로이 등재된 장담그기의 메카 순창에 4색 봄꽃이 활짝 피었다. 우리는 이를 두고 ‘금상첨화’라는 한다는 사실을 삼척동자도 안다.순창 한복판을 에워싸는 경천과 양지천에는 연분홍 벚꽃과 노란 개나리, 핑크빛 꽃잔디와 녹황콜라보의 수선화가 피었다.강변에 가장 가까운쪽은 수선화가 도열했고, 싱그러운 표정의 시민과 여행자의 산책길 옆 경사진 곳에는 분홍색 꽃잔디가 여행자의 마음을 상쾌하게 한다. 그리고 둑방에는 벚꽃 터널이 오가는 여행자들을 주인공처럼 의전해준다. 없던 정도 생길 판이다.지금 순창에 가면, 서너고을 가야 볼수 있는 꽃잔치를 한꺼번에 감상한다. 순창 경천 벚꽃터널 경천변 벚꽃 터널에 80대 노부부가 손을 꼭 잡고 산책하는 풍경은, 지난 3~4일 순창여행동안 가장 아름다운 풍경이었다. 그 뒤를 이어 30년만에 만난 여고동창생 4명이 딸에게 배운 인생샷 찍기를 그대로 재현하고 있었다.어딘지 쭈뼛거리고 틱틱거리던 남사친,여사친 MZ 커플은 순창 봄꽃 앞에서 어느새 꿀떨어지는 아이컨택을 하고 있었다.금요일인 4일 아침 경천변 꽃길을 걷다 최영일 군수를 만났다. “아니, 이 아침에 왠 일이시냐?”라고 묻자 그는 “서울에서 은퇴한 분들의 직장 동창회를 순창에서 하신다기에 출근 전에 부리나케 와서 인사를 드리고 있다”면서 “벚꽃과 꽃잔디, 수선화와 개나리의 환상적인 풍경을 감상하시고, 유네스코가 주목한 장류 푸드를 맘껏 즐기시면서 좀 더 건강해지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천 힐링스파 온천수 동굴 언덕의 수선화 순창 꽃 감상 주의사항은 4종의 꽃이 같은 시기에 일제히 전성기를 맞지는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 최적의 시기를 찾아야 하는데, 이번 주말과 다음 주말 사이가 최적기라고 한다.늦게 찾아온 한국의 봄, 예년보다 늦게 찾아온 봄꽃 개화기이므로, 봄꽃들은 2025년, 짧은 기간 화려하게 그 자태를 뽐낼 것이다.순창 장류 음식, 막걸리, 다슬기탕 등의 기막힌 맛에 놀란 가슴, 꽃 보고 한번 더 놀란 지난해 10월 2일 서울 시내 하늘 위에 떠 있는 북한의 대남 쓰레기 풍선에서 쓰레기들이 떨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북한의 쓰레기 풍선이 남한으로 날아오는 등 남북관계 긴장감이 높아진 상황 속에서 학생 10명 가운데 약 4명은 통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통계를 낸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통일부는 4일 전국 시도교육청 협조를 받아 지난해 초·중·고교 775곳의 학생 7만4,288명, 교사 4,42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4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 없다’는 응답은 42.3%로 2014년 조사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2년과 이듬해 각각 31.7%, 38.9%를 나타내며 꾸준히 올랐지만 40%를 넘긴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반대로 ‘통일이 필요하다’는 학생 비율은 47.6%로 전년 대비 2.2%포인트 줄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북한과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해 10월 2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조사된 결과라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통일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학생들은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통일 이후 생겨날 사회적 문제’ 때문이라는 응답이 29.4%로 가장 많았다. 이어 ‘통일에 따르는 경제적 부담’(22.2%), ‘남북 간 정치제도 차이’(18.7%) 순이었다. 대북 인식과 관련해서는 63.2%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경계 대상’과 ‘적대적인 대상’이라는 응답이 각각 48.2%, 15.0%였다. 반면 ‘협력 대상’이라는 인식은 27.8%, ‘도와줘야 하는 대상’이란 인식은 6.5%에 그쳤다. 현재 남북관계가 평화롭지 않다는 학생은 75.8%로, '평화롭다'(4.6%)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만 교사들의 경우 통일이 '필요하다'(79.2%)는 응답이 '필요 없다'(17.7%)를 크게 웃돌아 학생들과의 인식 차가 컸다. 2021년 같은 조사에서 협력·도움 대상이라는 인식이 60.6%, 경계·적대 대상이라는 인식이 34.8%로 집계된 결과와 비교하면 3년 만에 학생들의 대북 인식이 180도 바뀐 셈이다. 또 2021년에는 통일이 필요하다는 학생 비율이 필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